
여기는 흑산
형 약전은 흑산도로, 약용은 강진으로 갔다. 약전은 다시 뭍으로 나가지 못한다. 형제에게 저 바다는 건널 수 없는 바다였다.
흑산항에서 열두 굽이를 돌아 오른 상라산 꼭대기, 약전은 여기 서서 나라를 걱정하고 두고온 가족을 그리워하지 않았을까.
약전의 자취는 사라지고, 지금 그 자리에는 이미자 노래 '흑산도 아가씨'가 하루 종일 흐른다.
안충기 기자·화가 newnew9@joongang.co.kr

안충기 기자-화가
[안충기 펜화공방]고개 위의 흑산도 아가씨
1801년 11월, 함께 유배를 떠난 정약전·약용 형제는 나주에서 이별한다.
형 약전은 흑산도로, 약용은 강진으로 갔다. 약전은 다시 뭍으로 나가지 못한다. 형제에게 저 바다는 건널 수 없는 바다였다.
흑산항에서 열두 굽이를 돌아 오른 상라산 꼭대기, 약전은 여기 서서 나라를 걱정하고 두고온 가족을 그리워하지 않았을까.
약전의 자취는 사라지고, 지금 그 자리에는 이미자 노래 '흑산도 아가씨'가 하루 종일 흐른다.
안충기 기자·화가 newnew9@joongang.co.kr
다른 기자의 연재기사
-
1월 22일
-
토이스토리를 탄생시킨 픽사의 네 가지 피드백 방법
-
서울 30평대 1억원 더 오른다…고분양가 부채질한 분양가상한제
-
'100년 미국' 산산조각 냈다, 트럼프 탄핵 위기는 자업자득
-
다이아면 목숨건다···어떤 나라든 전쟁터 만든 '푸틴의 셰프'
-
동성 커플과 비혼 집사가 말했다 "꼭 결혼해야 가족인가요"
-
‘국가공인 1호’ 박제사 “박제는 죽은 동물에 새 생명 주는 일”
-
통신사는 알려주지 않는 통신비 아끼는 방법
-
1년째 미궁에 빠진 울산사건, 최순실보다 더한 국정농단?
-
38년전 눈뜨고 내준 그 하늘길…‘아카라 회랑’ 탈환작전 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