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통화 뒤 엇박자
트위터서도 “한·일이 사게끔 허용”
F-35, PAC-3 등 도입 빨라질 듯
청와대 “무기 구입 관련 대화 안 해
실무협상 시작하자는 원론적 언급”
![한국이 도입하려는 스텔스 전투기 F-35.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de82faa3-6e5d-43cd-9cbc-0931b26e88ef.jpg)
한국이 도입하려는 스텔스 전투기 F-35. [중앙포토]
![한국이 도입하려는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a7f24e79-87bf-487b-becc-6df0f7509fd5.jpg)
한국이 도입하려는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 [중앙포토]
![한국이 도입하려는 패트리엇-3 개량형.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6/0ba8b0b7-a9f7-4877-bbe5-cc4b8e818f96.jpg)
한국이 도입하려는 패트리엇-3 개량형. [중앙포토]
이에 대해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양 정상이 그간의 협의 과정에서 한국 군의 ‘3축 체계’ 조기 구축 등 국방력 강화가 긴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미국이 한국에 대해 필요한 첨단 무기 또는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시켜 나간다는 원칙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어 “전날 통화에서 무기 구입 관련 대화는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트위터에서 “한국이 무기를 사게끔(buy) 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청와대와 백악관의 엇박자가 이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사일 탄두 중량 확대 문제에 합의하면서 첨단 무기 도입, 기술 도입 등에 관해 뭉뚱그려 ‘실무적 협상을 시작해 보라’는 원론적 의미로 언급한 것으로 해석한다”며 “필요한 실무협상은 바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이 언급한 ‘수십억 달러’라는 규모에 대해 이 관계자는 “외국 정상이 정치적 의미로 한 말에 (양국의) 실무적 얘기가 없는 상태에서 (청와대가 나서)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7일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필요성을 언급하자 “(늘어날 한국 국방비의) 상당 부분이 미국의 첨단 무기 구입에 사용되기 때문에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외교 소식통은 “한국의 무기 구매는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미 FTA 폐기를 시사하는 가운데 미국 무역적자에 대한 우려를 불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서울=강태화 기자 jjpol@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