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A 2017' 참가한 삼성·LG·소니 등
오디어 성능 앞세운 프리미엄 가전으로 승부
VR·웨어러블 기기, AI 스피커 등으로 중요성 커져
![소니가 'IFA 2017'에서 공개한 77인치 OLED TV 신제품엔 별도 스피커 없이도 화면에서 소리가 나와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어쿠어스틱 서피스' 기술이 적용됐다. [사진 이창균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4/d87dd2c3-5bd0-4db0-914e-b1e8ad6fa816.jpg)
소니가 'IFA 2017'에서 공개한 77인치 OLED TV 신제품엔 별도 스피커 없이도 화면에서 소리가 나와 생생하게 들을 수 있는 '어쿠어스틱 서피스' 기술이 적용됐다. [사진 이창균 기자]
하만 부스에서 만난 마이클 마우저 하만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5G·디스플레이·반도체 기술과 하만의 오디오가 만나면 소비자는 이동 중이든 집에 있든 언제 어디서나 풍부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미국의 음향기업 돌비와 손잡고 OLED TV 라인업에 첨단 입체음향 기술 ‘돌비 애트모스’를 적용했다. ‘손안의 가전’인 스마트폰에서도 전문가 수준의 오디오를 탑재하면서 공을 들였다. 이번 IFA에서 공개한 신작 ‘V30’는 명품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과 협업하는 한편, 잡음을 기존 제품 대비 최대 50% 없애주는 32비트 하이파이(Hi-Fi) 쿼드 DAC를 탑재했다. DAC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쿼드 DAC면 4개가 하나의 칩에 들어간 기술이다.
![LG전자가 'IFA 2017'에서 공개한 스마트폰 신작 'V30'는 명품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과 협업한 결과물로 전문가 수준의 오디오를 탑재했다. [사진 이창균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4/edb193b8-39d2-49f3-83bb-e3cbc7d2f686.jpg)
LG전자가 'IFA 2017'에서 공개한 스마트폰 신작 'V30'는 명품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과 협업한 결과물로 전문가 수준의 오디오를 탑재했다. [사진 이창균 기자]
기업들이 오디오 전쟁에 한창인 이유는 세 가지다. 우선 거의 모든 가전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확장성’이 탁월해서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디오 기술은 TV·스마트폰뿐 아니라 가상현실(VR)·웨어러블 기기 등에도 폭넓게 적용 가능할 만큼 확장성이 무한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오디오가 ‘미래 먹거리’로서 매우 큰 잠재력을 지녔음을 의미한다.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적용되는 커넥티드카의 전장이나 스마트홈 등은 AI가 음성으로 사람과 소통하는 시대가 다가왔음을 보여준다.아마존의 음성 인식 AI 비서 ‘알렉사’와 연동된 기기는 이미 전 세계에서 5000만대가 넘게 팔렸다. 2015년 130만 달러였던 스마트 스피커 시장 규모는 올해 2070만 달러로 급증할 전망이다.
고음질을 원하는 일반 소비자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주된 이유다. 이날도 기업들이 마련한 체험 공간에서 헤드셋을 쓴 채 눈을 감고 꼼꼼히 음질을 확인하는 가족 단위 관람객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세계 가전시장의 25%를 차지하는 유럽 소비자들은 제품을 고를 때 오디오 성능을 중시한다. 북미도 마찬가지다. LG전자 관계자는 “유럽·북미 공략에서 오디오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했다. 한국에서도 이런 수요가 늘고 있다.
중요성이 커진 오디오 분야 생태계가 국내에 제대로 조성되지 않은 부분은 극복할 과제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강소기업이 많은 독일과 일본에서 오디오 업체가 대거 참가해 출품하고 기술력을 뽐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국내에서도 오디오 분야 스타트업 육성에 더 힘써야 미래 경쟁력 확보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를린=이창균 기자 smilee@joongang.co.kr
◆IFA: 매년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디지털·가전 전시회. 올해는 50여 개국 1640여 업체가 참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