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내지 않고 지나가는 이른바 '고속도로 통행료 먹튀'가 급증하고 있다.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e3b58990-2009-4c2f-83fc-b5df925662f8.jpg)
하이패스 차로를 이용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내지 않고 지나가는 이른바 '고속도로 통행료 먹튀'가 급증하고 있다. [사진 한국도로공사]
지난해 미납 1429만건 사상 최다…348억원 떼먹어
전년보다 315만 건, 86억원 껑충
번호판에 반사스티커 붙여 카메라에 안 찍혀
번호 안 보이게 꺽거나 아예 떼고 다니기도
차주 따로, 사용자 따로인 '대포차'도 많아
민자고속도로는 징수권 약해 속수무책
도로공사가 차 압류해도 후순위로 밀려
연간 20회 이상 통행료를 안 낸 차도 지난해 8만4696대이나 됐다. 2015년의 6만4612대에 비해 2만 여대(31%) 늘었다. 2012(3만9397만대)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이들의 미납통행료는 지난해 74억원으로 2015년 48억원에 비해 54%나 급증했다.

2012년 이후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통행료 미납 건수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의 상습 미납 차량 현황
가장 흔한 수법은 김씨처럼 카메라에 찍혀도 자동차 번호를 식별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번호판에 특수 스프레이를 뿌리거나 반사 스티커를 붙이는 수법은 익히 알려져 있다. 검은색 천이 내려와 번호를 가리게 하거나, 번호판이 180도 뒤집어져 번호가 사라지거나, 번호판이 바람에 꺾이게 해 고속 주행 시 번호가 안 보이게 하는 수법도 등장했다.
![번호판에 반사 스티커를 붙인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811936ba-9fc6-44ac-a1ad-44a53abf462b.jpg)
번호판에 반사 스티커를 붙인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
![번호판을 가린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3ae0d174-60ee-4d8f-8e91-5ab038da8982.jpg)
번호판을 가린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
![번호판에 이물질을 부착한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6f94868c-22b4-49dc-a017-fea50e450f80.jpg)
번호판에 이물질을 부착한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
![훼손된 번호판을 달고 다니는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c62c9180-5370-4104-b834-1c5f39c009c8.jpg)
훼손된 번호판을 달고 다니는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
![번호판에 이물질이 많이 껴 번호판을 식별하지 못하는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9/01/b4087069-0182-4e65-a138-46248cfdd4c5.jpg)
번호판에 이물질이 많이 껴 번호판을 식별하지 못하는 차량 [사진 한국도로공사]
민자고속도로에선 먹튀가 더욱 심각하다.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에 비교하면 먹튀를 해도 추후에 통행료를 받아낼 수 있는 권한이 약해서다. 도로공사가 관리하는 고속도로에선 미납한 통행료는 차량 압류 등을 통해 강제 징수할 수 있다. 하지만 민자고속도로의 민간사업자는 소송을 제외하고는 통행료를 징수할 방법이 없다. 최근에는 이런 사실이 알려지면서 민자고속도로에서 통행료 먹튀족이 더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역시 미납 통행료를 못받는 경우가 전체 미납금액의 6% 가량된다. 상습 미납 차량은 이동 경로와 이용시간 패턴을 파악해 이들 차가 고속도를 빠져나가는 나들목에서 차량을 강제로 인수하기도 한다. 더러는 차적 주소지를 방문해 차량을 인수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해당 차에 이미 압류가 걸려있는 경우가 많다. 도로공사가 돈을 받아낼 권리는 뒤로 밀리는 게 대부분이다.
한국도로공사 이덕성 영업처 차장은 “상습 체납을 줄이기 위해선 한국도로공사에 문제 차량의 고속도로 진입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렇게 되면 번호판 훼손 차량이나 상습 미납 차량 등을 톨게이트 진입 전에 걸러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함종선 기자 jsha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