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의 투자와 노력 여하에 따라 2050년에는 한국 사회가 필요한 에너지의 전부를 재생에너지로 보급할 수도 있다는 주장을 담은 세계자연기금(WWF)의 보고서가 23일 공개됐다. [사진 세계자연기금]](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f31e48dd-a6f1-4cba-862d-b2aad77184f3.jpg)
한국 사회의 투자와 노력 여하에 따라 2050년에는 한국 사회가 필요한 에너지의 전부를 재생에너지로 보급할 수도 있다는 주장을 담은 세계자연기금(WWF)의 보고서가 23일 공개됐다. [사진 세계자연기금]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재생에너지 전략 보고서 공개
재생에너지 비율 높일 수 있는 시나리오 3가지 제시
"에너지 수요 24% 줄고 3141조 투자하면 가능"
GDP 증가율 둔화, 온실가스 감축 노력 전제
"2050년은 먼 미래라 예측 어려워" 반론도
"시민 납득할 가격에 공급 가능 여부도 의문"
![23일 공개된 세계자연기금(WWF)의 보고서 표지 [사진 세계자연기금]](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2057bcab-830b-446d-86d4-b7eeb9b7cfce.jpg)
23일 공개된 세계자연기금(WWF)의 보고서 표지 [사진 세계자연기금]
기준 시나리오는 에너지 수요가 현재(2014년 기준)보다 점차 증가하고, 재생에너지 비율도 2050년 4%에 머무는 것으로 예상했다. 중간형 전환 시나리오는 2050년 에너지 수요가 지금보다 7% 감소하고, 재생에너지 비율은 45%에 이르는 것을 가정했다. 선진형 전환 시나리오는 에너지 수요가 24% 줄어들고, 재생에너지 비율은 55%로 상승하는 것을 전제했다. 마지막으로 비전형 전환 시나리오에서는 에너지 수요 감소는 24%로 선진형 전환 시나리오와 같지만, 재생에너지 비율은 100%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WWF 보고서에서 제시한 기준 시나리오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시나리오 세 가지의 효과를 분석한 표. [자료 WWF]](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a19f7586-5ddf-43f2-b913-744ca9d7928b.jpg)
WWF 보고서에서 제시한 기준 시나리오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시나리오 세 가지의 효과를 분석한 표. [자료 WWF]
보고서는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전기요금제도 도입 등을 통한 에너지 절약과 사용 효율성 제고 ▶스마트 그리드 투자,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의무공급비율 상향 조정 ▶자동차·열차 등 운송수단 동력원의 전력화 등을 제시했다.
환경경제학자로서 연구를 진행한 홍종호 교수는 "이들 시나리오에는 에너지 낭비 요인이 많고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한국의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 향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둔화될 것이란 점,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진행될 것이란 점 등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는 한국산업연구원이나 국제에너지기구(IEA), 유럽연합(EU)·독일 등의 보고서와 통계를 활용했다는 것이다.
![WWF가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른 재생에너지 보급 전망 [자료 세계자연기금]](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fb69c512-de47-4a38-a1bb-22e52d9fcdf1.jpg)
WWF가 제시한 시나리오에 따른 재생에너지 보급 전망 [자료 세계자연기금]
기준 시나리오에 따른 에너지 공급 비용이 3152조원이라면 중간형 시나리오는 3044조원, 선진형 시나리오는 2804조원, 재생에너지 100%의 비전형 시나리오는 3141조원으로 추산됐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fcc97de9-c2d4-4c00-aeaf-83e9641b4ba7.jpg)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중앙포토]
하지만 이같은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도 만만치 않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에너지 경제학 전문가는 "국내외에서 이런 식의 시나리오를 제시한 경우는 많지만 2050년은 전망을 내놓기에 너무 먼 미래"라며 "실행 의지도 중요하지만 에너지는 먼저 필요한 만큼 공급이 이뤄져야 하고, 시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가격 수준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술적인 실현가능성도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국토가 좁아 실제 재생에너지 보급를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이에 대해 보고서 작성자 중 한 명인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장은 "태양광 발전의 경우 호수 수면이나 건물 벽면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며 "최근 바다 위에 띄우는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도 실증 단계인데, 삼면이 바다인 한국은 독일보다 여건이 더 나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