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용 캠코 사장(왼쪽에서 네 번째)과 황규연 산업단지공단 이사장(왼쪽 세 번째) 등이 산업단지 기업 구조개선지원 활성화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 캠코]](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23/f5f408e5-3fe2-4996-b094-3d7a475d5da3.jpg)
문창용 캠코 사장(왼쪽에서 네 번째)과 황규연 산업단지공단 이사장(왼쪽 세 번째) 등이 산업단지 기업 구조개선지원 활성화 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 캠코]
캠코는 성장성은 있으나 일시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기업의 영업기반 유지와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세일앤리스백·Sale & Leaseback)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기업이 보유한 사옥이나 공장을 캠코가 사들인 뒤 해당 기업에 재임대 및 우선 매수권을 부여해 기업의 회생을 돕는 제도다.
캠코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1941억원을 투입해 유동성 위기에 처한 13개 기업의 자산을 매입해 재임대했다. 특히 최근에는 지난해 12월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산업단지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이 가능해지면서 해당 기업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 캠코 관계자는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은 최근 조선·해운 불황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 기자재 업체의 사업 안정화 지원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을 이용한 기업은 영업을 계속하면서도 차입금이 1512억원 감소하는 등 재무구조가 개선됐다. 더불어 중소기업진흥공단·금융회사 등과 협업을 통한 대출기한 만기연장, 이자상환유예, 분할상환 등 추가적인 금융지원으로 유동성 위기 극복 및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수 있게 됐다. 특히 2개사는 회생절차를 조기 졸업해 정상화가 성공적으로 이행되는 등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은 해당 기업의 사업 안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감소 방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최근 캠코는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기업구조조정 시장에서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지원대상을 중소기업에서 대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규모도 연 1000억원에서 연 5000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캠코는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더 많은 기업이 자산매입 후 임대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법원·정책금융기관·시중은행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관련부처와 협의해 법 개정도 추진했다. 캠코에 자산매각 시 발생하는 양도차익에 대한 법인세를 나중에 낼 수 있도록 해 기업의 세금부담을 완화했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앞으로 더 실효성 있는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송덕순 객원기자 song.deoksoon@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