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영국 정부가 EU 시민권자들이 아일랜드를 통해 영국에 입국하는데 제약을 두지 않을 것을 내비치면서 당초 국경 복원을 내세웠던 브렉시트의 취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 정부,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국경 현행 유지 EU에 제안
경계 없고 도로만 300곳 이상, 하루 4만명 자유 왕래
EU 시민권자 아일랜드 통하면 제약 없이 입국 가능하다는 의미
영국 정부 "취업하거나 사회보장 혜택 받으려면 비자 받아야"
평화체제 유지 위해 사실상 국경 복원 당초 취지 퇴색될 듯
영국은 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적 압력에 밀려 북아일랜드 지역을 제외한 아일랜드를 분리 독립시켰다. 하지만 영국에 남은 북아일랜드에서는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는 구교세력과 잔류를 희망하는 신교세력 간에 갈등이 극심했다. 1969년 이후 지속된 충돌로 3600여명이 숨졌다.
![마을에 있는 북아일랜드-아일랜드 국경 [BBC 홈페이지 캡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8/17/5a18ab08-431e-4066-984a-fe21213807cd.jpg)
마을에 있는 북아일랜드-아일랜드 국경 [BBC 홈페이지 캡처]
영국 정부로서는 브렉시트 이후 아일랜드 국경을 복원할 경우 역내 평화체제가 흔들릴 수 있다는 고민을 해왔다. 이를 막기 위해 자유 이동을 계속 보장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영국 정부가 EU 시민권자들이 아일랜드를 통해 입국하는 데 어떤 입국심사도 하지 않을 경우 “브렉시트 이후 변한 게 없지 않느냐"는 반응이 나올 수 있다고 현지 언론들은 보도했다.
영국 정부는 “심사 없이 입국하더라도 취업을 하려 하거나 사회복지 혜택을 받으려 할 때는 비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민자를 통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테리사 메이 정부는 이와 동시에 EU를 떠나더라도 EU와 “마찰 없는" 상품 이동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EU 집행위의 한 대변인은 “단일 시장과 관세 동맹에서 빠져있으면서 마찰 없는 교역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아일랜드 국경 문제에 대한 영국 정부의 입장과 관련해서도 사이몬 버프니 아일랜드 외무장관은 “명확하지 않은 면이 많다"며 “아일랜드가 브렉시트 협상의 저당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FT에 말했다. 아일랜드 상공회의소의 이안 탈보 대표도 “EU와 영국이 매우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영국 기업 관련 기구의 한 대표는 “한걸음 더 나아가긴 했지만 영국 정부의 발표는 더 많은 의문점을 불러 일으켰다"고 반응했다.
런던=김성탁 특파원 sunty@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