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참모 소통 가교역
정의용, 안보 핵심포스트 자리 굳혀
‘문재인표 정책’ 선봉
김수현 사회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김 수석은 취재진과 만나서도 자기 생각을 거리낌 없이 밝히는 등 자신감도 넘친다. 노무현 정부 당시 청와대에서도 국민경제비서관 등을 지내며 부동산 정책을 주도했던 그는 당시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여러 번 정책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랐다는 점에서 명백한 실패”라고 ‘쿨하게’ 반응했다. 그러면서도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의견에 대해서는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해 논란을 불렀다.
소득 주도 성장론 엔진
장하성 정책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특히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최종구 금융위원장, 최수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등 경제팀 곳곳에 이른바 ‘장하성 라인’이 구축됐다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내각의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설 자리가 줄어들면서 이른바 ‘김동연 패싱(건너뛰기)’이 빈번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판 웨스트윙’ 만드는
임종석 비서실장
임종석 비서실장

임종석 비서실장
임 실장은 문 대통령에게 보고할 현안이 있으면 부속실을 통해 별도의 약속을 잡지 않고서도 집무실 문을 몇 번 두드린 뒤 들어간다고 한다. 재선 의원 출신인 임 실장은 국회가 막혀 있을 때 직접 야당을 찾아가 사과하는 등 현장에 뛰어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당·청 간 불협화음이 나기도 했다.
맥매스터의 파트너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문제로 한·미 간 갈등이 노출되던 지난 6월에는 맥매스터의 자택에서 5시간 동안 마라톤 대화를 나누며 문 대통령의 첫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전 정지 작업을 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 실장과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의 오찬 자리에서 비롯된 국방부 ‘보고 누락’ 사건이 사드를 놓고 불필요한 혼란을 불렀다는 지적도 있다.
검찰 개혁의 아이콘
조국 민정수석
조국 민정수석

조국 민정수석
조 수석은 임명 직후 “내년 지방선거 전까지 검찰 개혁을 마무리 짓겠다”고 포문을 열었다. 단 안경환 전 법무부 장관 후보자,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등이 잇따라 낙마하면서 민정수석의 중요한 역할인 인사 검증에선 문제점을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재인 정부 100일
5월 10일 취임식서 “국민 모두의 대통령 될 것”
5월 12일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지시
5월 14일 북한 탄도미사일 화성-12형 발사
5월 18일 5·18 기념식 참석,
“광주정신 헌법 전문에 반영하겠다”
5월 21일 북한 북극성-2형 발사
5월 30일 사드 ‘보고 누락’ 진상조사 지시
6월 12일 ‘일자리 추경’ 국회 시정연설
6월 27일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잠정중단
6월 30일 한·미 정상회담
7월 4일 북한 ICBM급 화성-14형 1차 발사
7월 6일 베를린 구상 발표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과 만날 용의”
7월 14일 박근혜 청와대 문건 공개
7월 15일 내년 최저임금 결정(16.4% 인상)
7월 28일 북한 ICBM급 화성-14형 2차 발사
7월 29일 사드 발사대 4기 임시 배치 지시
8월 2일 부동산대책 발표
8월 9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발표
“돈 없어 치료 못 받는 일 없게 할 것”
8월 17일 취임 100일
5월 12일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 지시
5월 14일 북한 탄도미사일 화성-12형 발사
5월 18일 5·18 기념식 참석,
“광주정신 헌법 전문에 반영하겠다”
5월 21일 북한 북극성-2형 발사
5월 30일 사드 ‘보고 누락’ 진상조사 지시
6월 12일 ‘일자리 추경’ 국회 시정연설
6월 27일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잠정중단
6월 30일 한·미 정상회담
7월 4일 북한 ICBM급 화성-14형 1차 발사
7월 6일 베를린 구상 발표
“언제 어디서든 김정은과 만날 용의”
7월 14일 박근혜 청와대 문건 공개
7월 15일 내년 최저임금 결정(16.4% 인상)
7월 28일 북한 ICBM급 화성-14형 2차 발사
7월 29일 사드 발사대 4기 임시 배치 지시
8월 2일 부동산대책 발표
8월 9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발표
“돈 없어 치료 못 받는 일 없게 할 것”
8월 17일 취임 10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