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혜리 라이프스타일 데스크
이 영화엔 꼭 살아서 고향에 돌아가야 할, 만약 그렇지 못한다면 관객이 눈물을 쏟아내야 마땅한 병사 개개인의 안타까운 사연은 등장하지 않는다. 심지어 병사들은 이름조차 불리지 않는다. 전쟁의 비극과 잔혹함을 드러내기 위해 감정을 쥐어짜지 않는데도 이상하게 관객은 전쟁의 공포를 온몸으로 체험한다. 전쟁의 비극(적인 사연)을 감정과잉으로 부추기는 대신 극도로 절제하기에 오히려 전쟁의 비극성을 더 극적으로 전달하는 셈이다.
시청률로는 다 설명할 수 없을 만큼 큰 화제 속에 종영한 드라마 ‘비밀의 숲’도 비슷하다. 전쟁물과 추리물이라는 장르물의 클리셰를 뒤엎었다는 점 외에 두 작품은 불필요한 감정을 거둬내 더 큰 감정을 자극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심지어 ‘비밀의 숲’에서 비밀을 파헤치는 황시목 검사(조승우 분)는 아예 어릴 적 뇌 수술로 감정이 없는 인물이다. 불의에 분노하고, 그러기에 무모할 정도로 정의감이 넘치던 기존 범죄물 주인공과 달리 감정이 배제된 인물이기에 오히려 정의로움이 무엇인지 객관적인 눈으로 볼 수 있게 해 준다. 그런 의미에서 이 드라마의 핵심을 가장 잘 드러낸 장면은 사회정의를 구현하겠다며 살인도 불사하다 스스로 목숨을 던진 이창준 수석을 황 검사가 “시대가 만든 괴물”로 담담하게 평가하는 장면이 아닐까 싶다. 불필요한 분노의 감정을 끌어내지 않기에 오히려 시청자는 불의에 분노하고 정의가 무엇인지 자문하게 된다.
어디 영화와 드라마뿐일까. 절제하기에 분명하게 메시지를 드러내는 두 작품을 보며 절제의 미덕을 다시 생각해 본다.
안혜리 라이프스타일 데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