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갑질' 교수들의 행태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 조사(2014년)에 따르면 대학원생의 45.5%는 교수로부터 언어·성적 폭력, 사적 노동 등 부당한 처우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중 4.5%만 당사자에게 시정을 요구했고 65.3%는 참고 넘어갔다. 향후 불이익 두렵거나(48.9%) 해결 안 될 것 같다(43.8%)는 이유였다. 일러스트=박용석
여학생 조교들에게 막말과 성희롱 일삼는 '갑질' 교수들
"'꿈이 교수'라 하면 남자가 싫어한다, 초졸이라 해라"
피해자들 "논문이나 장학금 걱정에 이의 제기 못해"
27일 전국대학원총학생회 '인권개선' 대책 촉구
노웅래 의원, '대학 인권센터 설치 의무화' 법안 발의
극소수이긴 하지만 일부 교수가 지도교수라는 우월적 신분을 이용해 조교 등 대학원생들에게 도를 넘는 '갑질'을 하고 있다. 이 사례는 '전국대학원총학생회협의회'(이하 협의회)가 27일 본지에 소개한 사례 중 하나다. 협의회에 따르면 남자 교수가 여성이면서도 조교를 맡은 대학원생에게 갑질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협의회에 따르면 조교 등 대학원생들이 교수들에게 이런 횡포를 당해도 논문 통과나 장학금 등 때문에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기 힘들다. 지난해 대학원생들에게 논문 등 8만장을 스캔하도록 시킨 ‘팔만대장경’ 사건처럼 일부 교수의 갑질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조교들은 이런 피해를 당해도 인권 침해를 호소할 곳이 마땅치 않다. 김선우 고려대 대학원 총학생회장은 “문제 교수들의 갑질은 이미 일상이 돼버렸지만 대학 내에 신고할 곳이 없어 혼자 끙끙 앓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인권센터가 있는 곳도 역할에 한계가 크다. 지난 6월 서울대 인권센터는 ‘팔만대장경’ 교수에게 별도의 징계 요구 없이 인권교육 이수 처분만 내렸다. 당시 서울대 대학원생들은 “인권센터가 학교의 눈치를 보며 공정한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노 의원 조사에 따르면 인권센터를 설치한 19개 대학 중 16곳은 총장 직속 기구나 일반 부서로 편제돼 독립성을 갖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센터 운영위원회에 학생이 참여하는 곳은 19곳 중 8곳뿐이다. 서울의 한 사립대 대학원생 고모(30)씨는 “인권센터가 독립 기관이 아닐 경우 학교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운영과 공정한 판단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서울대 대학원 총학생회와 인권단체로 구성된 '서울대 인권단체 모임'이 인권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2/20/b818d07b-4daf-4f64-a2c4-145206b5d441.jpg)
지난 13일 서울대 대학원 총학생회와 인권단체로 구성된 '서울대 인권단체 모임'이 인권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지난 6월에는 조교들의 근로 현황 공개를 의무화 하는 ‘교육관련 기관의 정보공개법’ 개정안이 발의돼 상임위에 계류 중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모든 대학은 조교들의 업무 시간·범위 등을 1년에 한 번씩 공개해야 한다. 이와 함께 국회는 조교 채용시 계약서를 작성토록 하는 '조교계약서' 도입 방안을 교육부와 논의 중이다.
윤석만·이태윤 기자 sam@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