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전문가 추천으로 식당을 추리고, 독자 투표를 거쳐 1·2위 집을 소개했던 '맛대맛 라이벌'. 2014년 2월 5일 시작해 1년 동안 77곳의 식당을 소개했다. 1위집은 ‘오랜 역사’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집이 지금도 여전할까, 값은 그대로일까. 맛대맛 라이벌에 소개했던 맛집을 돌아보는 ‘맛대맛 다시보기’ 12회는 삼계탕(2014년 7월 9일 게재)다. 당시 1위인 논현삼계탕(논현동)이 사장의 해외 장기 출장으로 취재가 불가능해 2위였던 토속촌을 소개했다.
망할 거라던 가게 대박집으로

호두, 잣, 율무, 호박씨, 해바라기씨 등 견과류가 많이 들어있는 토속촌의 삼계탕. 김경록 기자
견과류 많이 넣어 구수한 국물
그러다 발견한 게 견과류다. 토속촌 삼계탕엔 견과류가 많이 들어가 국물이 걸쭉하고 구수하다. 밤은 기본이고 율무·호박씨·해바라기씨·호두·들깨 등을 넣는다. 견과류를 넣을 때도 나름의 비율이 있다. 예를 들어 율무는 너무 많이 넣으면 아린 맛이 나고 호두 역시 생으로 넣으면 떫기 때문에 살짝 데쳐 넣는다.

한옥 7채가 이어져 있는 토속촌 입구. 김경록 기자
일본항공 책자 덕에 관광객 몰려

한옥 7채가 미로같은 통로를 따라 모두 11개의 공간으로 나눠져 있다. 김경록 기자
대기업도 울고갈 마케팅 감각
![토속촌은 복날이면 특히 긴 줄이 늘어선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7/08/b3db4f81-4164-40d1-9de9-d74bbfceb6c3.jpg)
토속촌은 복날이면 특히 긴 줄이 늘어선다.[중앙포토]
이런 노력 덕분에 토속촌은 35년 전 문을 연 이래로 단 한번도 빠짐없이 매년 매출이 늘었다. 조류독감이나 경기불황도 토속촌만은 비켜갔다. 정 회장은 “매장이 딱 하나뿐”인 걸 비결로 꼽았다. 욕심을 내서 매장을 늘리면 관리가 어려워 결국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현재 토속촌은 체부동에 딱 하나뿐이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분점이나 프랜차이즈 사업 제안이 많지만 늘 거절한다. 한 곳이라는 희소성을 유지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웃지 못할 일도 생긴다. 3년 전에는 한 손님이 “싱가포르에 분점을 냈냐”고 물었다. 알고보니 어떤 사람이 정 회장의 친척이라고 말하며 토속촌이라는 이름으로 가게를 낸 것이다. 가게에 길게 줄 선 사진도 걸었으니 모르는 사람이 보면 같은 집으로 오해할만 했다. 정 회장은 “토속촌 상호는 미국과 아시아 몇 개국 등 해외에 상표등록이 돼있다”며 “변호사를 통해 그 사실을 알려주고 간판을 내리게 했다”고 말했다.

토속촌 삼계탕은 견과류를 많이 넣어 육수가 걸쭉하다. 김경록 기자
노무현 대통령 기억에 남아
맛대맛에 소개된 지 만 3년이 지났다. 가게는 이제 아들 성훈씨가 물려받아 운영중이다. 30여 년 넘게 승승장구했던 토속촌이지만 지난 3년은 메르스·조류독감·사드 등 사회적 이슈들에 연달아 터지며 국내외 손님이 조금 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여전히 식사 시간이면 입구에 긴 줄이 늘어설 만큼 인기다. 2015년엔 본관 옆 건물을 매입해 별관을 열었다. 300여 석이던 좌석수는 450여 석으로 늘었다.
·대표메뉴: 삼계탕(1만6000원), 전기구이통닭(1만5000원) ·개점:1983년 ·주소: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5길 5(체부동 85-1) ·전화번호: 02-737-7444 ·좌석수: 300석 ·영업시간: 오전 9시30분~오후 10시(연중무휴) ·주차: 건너편 전용주차장(100여대 가능, 1시간 무료)
송정 기자 song.jeong@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