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경영서 물러나게 된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9a1c858d-b60c-4060-970a-a7c8f5578215.jpg)
그룹 경영서 물러나게 된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 [중앙포토]
일본 지주회사서 그룹 경영 최종 배제
70년 창업 도전과 경영 철학 재조명
"큰 일 하려면 작은 일도 알아야"
1만5000개 제품 가격 다 알던 회장
"한국 기업인들은 때론 무모해"
무차입 중시... 차입 경영 우회비판
"언제까지 고궁만 보여줄 수 없다"
제2롯데월드 건설 추진... 결국 완공
![1960년대 신격호 회장이 40대 시절 [사진 국회디지털도서관]](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24a6b5f2-12a6-4ff4-98bc-0712ce33d239.jpg)
1960년대 신격호 회장이 40대 시절 [사진 국회디지털도서관]
1983년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껌 한 통의 소비자 가격을 아는 회장에 대해 기자가 놀라자. 그는 “껌은 23개 계열사에서 생산되는 제품 1만5000 종 중 하나일 뿐”이라며 “나는 1만5000가지 제품의 특성과 생산자, 소비자 가격을 알고 있다”고 응답.
![롯데제과 20년사에 수록된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사진. [사진 롯데제과]](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abfeeb6b-43f1-4c9c-9e46-719ee526b8a0.jpg)
롯데제과 20년사에 수록된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사진. [사진 롯데제과]
1999년 10월, 한 월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신 총괄회장은 “잘 모르는 사업을 확장 위주로 경영하면 결국 국민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며 “고객이건 협력업체건, 롯데와 거래하면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아야 한다”고 응답.
![신격호 회장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d9be021e-94f1-45b1-8479-6a499aa50a0e.jpg)
신격호 회장 [중앙포토]
2001년 1월, 한 월간지 인터뷰 중. “회사가 잘될 때는 괜찮은데 잘못되면 인간적으로도 어렵게 되고 회사로서도 부담이 된다”며.
“한국 기업인은 과감하긴 한데 무모하게 보일 때도 있다.”
2001년 1월, 한 월간지 인터뷰 중 자신의 무차입 경영 철학을 설명하며. 그는 “회사의 성공이나 실패를 모두 자신의 책임으로 돌리면 신중해지고 보수적이 된다”며 “그러다보니 빚을 많이 쓰지 않게 됐다”고 설명. 그는 당시 한 재벌회장이 자신에게 “우리는 빚이 많지만 은행이나 당국에서 부도를 내게 하진 않을 것”이라고 한 말을 소개하며 한국 기업인의 무모한 차입 경영을 비판하기도.
![1995년 9월 관광진흥대회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격호 롯데 회장에게 금탑산업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656efd15-c08f-4da3-909b-5f17c789c14f.jpg)
1995년 9월 관광진흥대회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신격호 롯데 회장에게 금탑산업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중앙포토]
“왜 회사를 남에게 파느냐”
2006년 롯데쇼핑 상장을 추진하는 차남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에게 질책하며 건넨 말. 차입 경영에 부정적이었던 신 총괄회장은 기업 공개를 통해 주식 시장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은 전략으로 여겨. 실제로 롯데그룹의 국내 94개 계열사 중 상장사는 롯데쇼핑ㆍ롯데제과ㆍ롯데칠성음료 등 8곳에 불과.
![빨간 골프공을 이용해 눈 내린 날에도 골프를 한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오른쪽)과 신격호 롯데총괄회장이 기념 사진을 찍었다. 관계자들은 1990년대 초반의 일로 기억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949b78b5-84c3-4eac-97e1-5c0ee5e02fbf.jpg)
빨간 골프공을 이용해 눈 내린 날에도 골프를 한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오른쪽)과 신격호 롯데총괄회장이 기념 사진을 찍었다. 관계자들은 1990년대 초반의 일로 기억하고 있다. [중앙포토]
“저는 운이란 걸 믿지 않습니다.”
2012년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그는 당시 “벽돌을 쌓아올리듯 신용과 의리로 하나하나 이뤄나갈 뿐”이라고 강조.
![롯데 '형제의 난'이 본격화된 2015년 11월, 신동주 일본 롯데 회장의 안내를 받고 있는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6/24/4cb6b5d8-bd0d-4960-b9ba-7b0b45f6a0c6.jpg)
롯데 '형제의 난'이 본격화된 2015년 11월, 신동주 일본 롯데 회장의 안내를 받고 있는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 [중앙포토]
“언제까지 외국 관광객에게 고궁만 보여줄 순 없다.”
4월 최종 완공된 서울 잠실의 제2롯데월드에 적혀있는 신 총괄회장의 일성. 제2롯데월드 설립을 숙원처럼 여겼던 신 총괄회장은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건축물이 있어야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고 강조.
임미진·문희철 기자 mij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