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태지역 무역자유화 주도할 체제
미·중 의존 탈피한다는 전략 밝혀
방안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동아시아 경제 통합=우선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과 한·중·일 FTA 체결을 통해 아태지역 무역자유화를 주도하고 3국 간 평화협력 체제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문 후보는 약속했다.
다음으로 제시된 게 흥미롭게도 북한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을 통해 북한의 국제 경제체제 편입을 지원한다는 것이었다. 이로 인해 리셋 코리아 통상분과 위원들 사이에서는 “북한과 통상 문제 간에 얼마나 큰 관계가 있느냐”는 비판적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끝으로 동북아개발은행을 설립하고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아시아개발은행(ADB)과의 연계를 통해 북한 인프라 개발에 나선다는 게 전략으로 거론됐다.
◆신흥시장 개척 및 자유무역 질서 확대=이 방안과 관련해 가장 먼저 언급된 건 중국 탈피 전략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해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및 인도를 중국·일본에 이은 무역 및 투자 진출국으로 적극 개발해야 한다고 당시 문 후보 측은 주장했다. 아울러 호주·싱가포르·멕시코·칠레 등 자유무역적 입장을 공유하는 국가들과 함께 통상 선진국가 클럽, 일명 ‘서울클럽’을 구성하겠다고 천명했다.
◆통상 역량 강화=통상 능력 제고책으로 제시된 첫 방안은 재외공관을 해외진출 기업의 수입규제 대응 거점으로 활용하자는 아이디어였다. 이와 함께 대외경제정책 조정 기능과 통상외교의 전문성 및 국제 통상 대응 역량도 적극 강화하겠다는 게 통상 공약 내용이었다.
남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