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위치한 금융감독원 연수원의 한 회의실. 이날 <span style="""""""""letter-spacing:"""""""" -0.245px;"="""""""""""""""">국민안전처의 업무보고가 예정돼있었지만</span> 보고 내용이 사전에 유출되면서 일정이 취소됐고, 국정기획위는 31일 안전처 업무보고를 받았다.[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31/2e7bce81-5f95-4a31-bac6-641c0dbe3ea0.jpg)
지난 26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위치한 금융감독원 연수원의 한 회의실. 이날 국민안전처의 업무보고가 예정돼있었지만 보고 내용이 사전에 유출되면서 일정이 취소됐고, 국정기획위는 31일 안전처 업무보고를 받았다.[중앙포토]
그는 문재인 정부의 안전 정책과 관련, “'안전이 복지'라는 철학 위에 취약계층의 ‘안전복지’ 개념으로 맞춤형 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라며 “안전의 범위를 교통사고 등 시설물 안전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안전은 국민의 기본권 중 기본권”이라고 강조했다.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사고 대응 등에서 재난 컨트롤타워 기능이 상실됐다고 봤고, 이 때문에 ‘강력한 재난 대응시스템 구축’과 ‘청와대 위기관리 시스템 재구축’을 강조했다. 경주 지진으로 공포심이 높아진 원자력 발전에 대해서는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취임 후엔 업무지시로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가동 중단을 지시하는 등 미세먼지 대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정 위원은 “대통령 공약 선호도를 보면 1위가 미세먼지, 3위가 탈핵 에너지, 4위가 안전이 정착된 나라 등 안전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강하다”며 “앞으로 5년 간 경제, 정치 뿐 아니라 안전에서도 선진국이 되도록 적극 노력하길 바란다”고 안전처에 주문했다.
이날 안전처 업무보고는 지난 26일 보고 내용이 일부 언론에 사전 유출되면서 일정이 취소된 후 다시 잡혔다.
안전처는 소방·해경의 독립으로 조직 해체 위기에 놓여있다. 업무보고엔 소방·해경공무원 충원과 해양수사국 신설, 긴급재난문자 발송 권한을 시·도지사에게 부여하는 내용 등이 포함돼있다고 한다.
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