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대 부동산 시장은
공급 과잉, 금리 인상도 악재
DTI 완화 연장 가능성 적어
집값은 크게 변동 없을 듯

대출 규제는 강화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주택 대출 땐 신청자의 모든 대출 원리금을 따져 한도와 금리를 정하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지표로 활용한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종료되는 총부채상환비율(DTI)과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 조치가 추가 연장될 가능성이 작아 보인다. 다만 서울 집값은 소폭 오를 것으로 보인다. 공급이 많지 않아서다.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은 2만6000여 가구로 2010~2016년 연평균(2만8413가구)보다 적다.
서울 주택시장의 무게추는 강남에서 강북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 문 대통령이 공약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정부가 뉴타운·재개발 사업을 중단한 강북 구도심에 10조원을 투자하면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돼 거래가 늘어날 수 있다.
황의영 기자 apex@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