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 통상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열린 한국국제통상학회 주최 심포지엄. [최정동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5/04/4d75847e-d7d5-4e67-9aa2-191e75a74466.jpg)
‘차기 정부, 통상 어떻게 할 것인가’주제로 열린한국국제통상학회 주최 심포지엄. [최정동 기자]
국제통상학회·무역협회 심포지엄
“통상 관련 담당자들 맨파워 키워야”
“원산지 규정 통일, 서비스 시장 개방”
참석자들은 중앙일보·JTBC의 국가 개혁 프로젝트 ‘리셋 코리아’ 통상분과 위원들이 제시한 ‘한국판 미국무역대표부(USTR) 설치’ 및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신(新) 통상정책 수립’ 방안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발제자로 나선 학회 회장 최병일 이화여대 교수는 “산업 및 통상 정책을 제대로 연계시키면 한국 제조업의 르네상스를 맞이할 수 있다”며 “무역에 숨통이 터지면 성장하나 역풍이 불면 비틀거리는 한국 경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음은 패널로 참석한 전문가들의 발언 요지.
◆김종범 연세대 교수=현재 한국의 통상은 관세 등에 집착하는 개도국형으로 앞으로는 선진국형으로 변해야 한다. 특히 일본·인도 FTA에서 보듯 전문 인력의 이동을 쉽게 해야 한다. 실제로 이 협정에는 인도의 프로그래머가 일본에 쉽게 와서 일할 수 있게 하는 부속서가 포함돼 있다.
◆신승관 국제무역연구원 원장=통상 정책 문제는 조직이 바뀐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문제는 담당자들의 맨파워가 약하다는 것이다. 경쟁력을 높이려면 통상 인력의 전문성, 근무의 연속성을 보장해 줘야 한다.
◆최원목 이화여대 교수=차기 정부의 통상정책은 탈정치화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정책 우선순위가 제대로 수립되고 실리적인 통상정책이 전개될 수 있다. 한국은 무역에 의존하는 지정학적 약소국이라 실리 원칙에서 벗어나면 통상정책이 무력화된다.
◆안덕근 서울대 교수=한국처럼 FTA 많이 한 나라도 없지만 활용성이 떨어지는 것들도 많다. 다음 정부는 FTA를 선진화하는 게 시급하다. 이를 위해 복잡한 원산지 규정을 통일해야 한다. 또 본격적인 서비스 시장 개방도 절실하다.
◆허윤 서강대 교수=국민이 혜택을 보는 인간의 얼굴을 한 통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2013년 외교부에서 산업자원부로 통상업무가 넘어간 뒤 기대됐던 산업과 통상의 시너지가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다.
◆최석영 서울대 교수=요즘 국제 무역 질서는 자유무역 체제가 희석되고 다자체제는 약화되면서 1980년대 풍미했던 관리무역 체제로 복귀하고 있다. 서비스 개방 문제 등은 특정 부서에서 결정할 수 없으니 정부 내 조정기관에 대통령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
◆강원식 전 관동대 교수(홍 후보 측)=미국은 북핵 해결에 협조하면 중국의 통상문제는 그냥 넘어가겠다고 한다. 그러니 우리가 북핵 압박에 적극 동참하면 한·미 FTA도 그냥 넘어갈 수도 있다.
◆최성호 경기대 교수(안 후보 측)=조직 개편은 가급적 최소화하고 기능 개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현 통상 조직의 큰 틀을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정책 위원회로 만들든지, 자문기관으로 개편해 보완해 나가야 한다.
남정호 논설위원 namjh@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