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명 신상정보 해킹 혐의 러 정보기관 요원 등 4명 기소
미 법무부 "해킹 자료 간첩활동 및 경제 이득 얻는데 사용"
CNN "러 요원 1명 모스크바서 복역 중"…이중간첩 의혹도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3/16/11fdfd8c-d087-493d-b3d4-a290622abf2d.jpg)
[중앙포토]
앞서 야후가 두 차례 해킹 사건 모두 특정 국가의 지원을 받은 해커의 소행으로 추정했지만 이 국가가 러시아로 밝혀진 것이다. 미 정부가 사이버 범죄와 관련해 러시아 현직 정부 관계자를 기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에겐 해킹을 비롯해 유선사기, 영업비밀 도용 및 경제간첩 등 혐의가 적용됐다.
기소된 FSB 요원은 드미트리 도쿠차에프와 그의 상사인 이고르 수슈친이다. 고용된 해커 2명은 지명수배 1순위 해커인 알렉세이 벨란과 카자흐스탄 출신의 캐나다 시민권자 카림 바라토프다. 이 중 바라토프는 전날 캐나다에서 체포돼 현재 구금된 상태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법무부는 전했다.
CNN은 이와 관련 FSB요원인 도쿠차에프는 지난해 12월 러시아에서 간첩혐의로 체포돼 모스크바의 악명높은 레포르토브 교도소에 수감돼 있다고 보도했다. 도쿠차에프는 당시 러시아 첩보활동의 중심지인 FSB 센터8의 핵심 인력으로 활약 중이었다. 그러나 그는 센터 부소장인 세르게이 미하일로프 등과 함께 체포돼 “미국 중앙정보국(CIA)와 내통했다는 혐의”(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라 옥살이 중이다. 때문에 도쿠차에프가 이중 간첩 활동을 한 것인지 그의 실제 역할을 둘러싸고 의혹이 일고 있다.
두 차례나 대규모 해킹에 당한 야후는 이로 인해 미 최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에 인터넷 사업부문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차질을 빚었다. 인수 가격도 3억5000만 달러(약 4000억원)나 낮춘 44억8000만달러(약 5조1210억원)로 결정됐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