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방현내셔널부 기자
한국 학생들의 중국행 취소 사태는 사실상 중국 정부가 자초한 측면이 강해 보인다.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의 한반도 배치를 구실로 지난 2일 한국 여행 금지 조치 등 부당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소비자의 날인 15일부터 본격적으로 한국 여행 금지 조치에 들어갔다. 민간업체까지 나서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1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중국의 한 호텔 입구를 찍은 것이라는 설명과 함께 사진 두 장이 실렸다. 사진에는 중국어로 ‘한국 놈들 짓밟아 죽이자’는 섬뜩한 문구가 적혀 있었다.
이렇게 신변 안전을 위협받는 마당에 중국에 가겠다는 학생들이 있을지 의문이다. 논산 강경고 2학년 고은서양은 “중국 가서 무슨 일을 당할지 몰라 겁난다. 경제대국이라는 말에 걸맞지 않게 중국의 행동이 옹졸하고 치사해 보인다”고 말했다.
![[일러스트=김회룡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3/16/5bfa42d0-9e1b-4efb-9c8f-ad34855f2c5b.jpg)
[일러스트=김회룡 기자]
중국의 보복 조치는 안보·정치 이슈를 경제 문제로 끌어들였다는 점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다. 정상은 한남대 중국경제통상학과 교수는 “중국의 조치는 글로벌 스탠더드와는 한참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일본에도 유사한 관광 보복을 가한 적이 있다. 2012년 일본이 센카쿠 열도(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하자 중국인의 일본 관광을 중단시켰다. 하지만 센카쿠 갈등이 채 해소되지 않은 2014년 일본을 찾는 유커는 전년 대비 83.3% 늘었다. 지난해에는 2012년에 비해 다섯 배 증가했다. 반면 관광 보복 이후 중국위협론이 부각되면서 중국을 찾는 일본인 수는 거의 늘지 않고 있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전 세계가 열광하는 한류 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유커는 한국을 찾고 싶어 한다. 반면 중국은 불안하다는 이미지가 고착되면 중국을 방문하는 한국인은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중국의 ‘화풀이성’ 보복 조치는 길게 보면 중국 자신에게 피해를 줄 뿐이다.
김방현 내셔널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