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1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정 안정과 공정한 대선 관리를 위해 제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황 대행이 이날 오전 창원시 3·15 아트센터에서 열린 ‘제57주년 3·15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하기 위해 연단으로 가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3/16/1bda4be5-71c4-47c2-a4ad-35042d40c765.jpg)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1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국정 안정과 공정한 대선 관리를 위해 제가 대선에 출마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황 대행이 이날 오전 창원시 3·15 아트센터에서 열린 ‘제57주년 3·15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하기 위해 연단으로 가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반기문 이어 대선 무대 퇴장
유례없는 일방적 선거 구도
민주당 뺀 3당 개헌투표 합의
반문재인 연대 가능성 열어
대선 날짜는 5월 9일로 확정
황 대행이 빠지면 남은 보수 진영의 주자는 유승민 의원, 홍준표 지사 등이다. 현재로선 지지율이 3%를 넘는 후보가 없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갈 곳을 잃은 보수 표심이 어떻게 재조정되는지가 이번 대선의 결정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황 대행 불출마로 ‘반(反)문재인’ 연대가 성사될 길은 열렸다는 관측이 나온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황 대행의 지지층은 ‘태극기집회’로 상징되는 강경 친박 성향”이라며 “만약 황 대행이 자유한국당 후보가 됐다면 국민의당과의 연대는 물론 바른정당과 손잡기도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황 대행이 빠지면서 ‘자유한국당+바른정당’의 보수연합은 물론이고 ‘자유한국당+바른정당+국민의당’의 3당 연대론이 고개를 들 수 있다. 실제로 이날 자유한국당 정우택·국민의당 주승용·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만나 대선 당일 개헌 국민투표를 함께 실시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이에 민주당이 강력 반발하고 나선 것은 향후 대선 구도와 관련한 의미심장한 장면이었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황 대행의 불출마로 강경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이 투표를 포기할 가능성이 생겼지만, 반대로 보수 진영에서 ‘이렇게 된 이상 당을 떠나 문재인 전 대표를 견제할 수 있는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자’는 여론이 생겨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대선의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4월 17일부터 5월 8일까지 22일간이다. 사전투표는 5월 4~5일 실시된다. 대선 당일인 9일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으며 오후 8시까지 투표를 할 수 있다. 또 지난 2월 선거법 개정으로 이번 대선부터는 선거 당일에도 온라인 선거운동이 허용되며 투표 인증샷 공개도 할 수 있다.
김정하·박성훈 기자 wormhol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