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21일 소환
전직 대통령으론 네번째 피의자 조사
안종범 수첩, 정호성 녹음파일 등
혐의 관련 물증·진술 확보한 상태
조사 내용 실시간 검찰총장 보고
예우는 노무현 전례 따를 가능성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21일 오전 9시30분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라고 15일 공식 통보한 검찰은 이날 오후 공식 브리핑에선 말을 아꼈다. 노승권 서울중앙지검 1차장검사는 조사 방법과 조사 담당자 등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아직 안 정해졌다. 내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과 탄핵심판 최종의견서 등에서 혐의를 부인해 온 박 전 대통령을 어떤 방식으로 조사할지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최순실씨 등과의 대질신문 가능성을 묻자 “조사 방법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수 없다”고 답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조사 계획을 촘촘하게 짜고 있다. 검찰 핵심 관계자는 “소환조사 직후 법과 원칙에 따라 신병처리 여부를 바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 후 2~3일 안에 구속영장 청구와 기소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날 대선일(5월 9일)이 확정돼 수사가 길어질 경우 정치적인 고려 사항이 많아진다는 점도 고려하고 있다. 앞서 검찰 지휘부는 3월 안에 박 전 대통령 사건을 마무리하는 방침을 세웠다.



박 전 대통령은 서울중앙지검 앞 포토라인에 선 다음에 특수본 간부와의 티타임→변호인 입회하에 조사→휴식 및 식사→신문조서 검토→귀가 순으로 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할 혐의가 13개(검찰 특수본 8개+특별검사팀 5개)나 되기 때문에 최소 10시간 이상의 강도 높은 수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김수남 검찰총장은 거의 실시간으로 조사 상황을 보고받게 된다.
현일훈·송승환 기자 song.seunghwa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