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일 5월 9일 확정
3당,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합의
민주당 “유력 후보 견제 위한 꼼수”
국회 통과 위한 200명 확보 힘들듯
문재인 “다음 정부서 하는 게 순리”
안철수도 “국민 의사 반영 안 돼”
![[문재인 노동정책 토론회 축사/20170315/의원회관/박종근]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로운 정부의 노동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왼쪽부터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 전 대표, 조대엽 고려대 교수.](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3/17/f7c72250-0a8d-438d-a6f6-864afe4da64a.jpg)
[문재인 노동정책 토론회 축사/20170315/의원회관/박종근]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로운 정부의 노동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왼쪽부터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 전 대표, 조대엽 고려대 교수.
개헌안이 국회를 통과하려면 민주당 내 개헌파 의원들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3당 개헌 합의' 민주당 개헌파에 물어보니
현 상황에선 개헌안의 국회 통과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개헌안 통과의 키를 쥔 민주당 개헌파 의원 대부분은 “대선과 동시에 개헌을 하는 것은 유력 후보를 견제하겠다는 꼼수”라며 반대했다. 36명 중 3당 개헌안에 찬성하겠다는 의원은 개헌연대를 추진하기 위해 탈당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가까운 최명길 의원이었다. 다만 최 의원은 개헌안 발의에는 찬성하지만 국민 투표를 꼭 대선일에 맞출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개헌 적극 찬성파인 김성수·변재일·오제세·이언주·최운열 의원 등 5명은 입장 표명을 유보했다.
나머지 30명은 “특정 후보를 흔들려는 목적의 정략적 개헌엔 반대한다. ‘번갯불에 콩 볶아 먹는 식’ 개헌은 안 된다”(이상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날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3당 합의는) 민심과 따로 놀고 국민 주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개헌 내용이 국민 의사와 다를 뿐 아니라 개헌시기도 다음 정부에 가서 하는 게 순리”라고 주장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도 “현재의 개헌 논의는 졸속이고 대선을 앞둔 정략일 수 있다”고 반대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도 “국민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개헌엔 반대한다”고 선을 그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미래일자리특위 정책간담회에 참석했다. 오른쪽은 같은 당 오세정 의원. [뉴시스]](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703/17/5589a5e3-05ad-4f33-886e-233a40e54b67.jpg)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미래일자리특위 정책간담회에 참석했다. 오른쪽은 같은 당 오세정 의원. [뉴시스]
대선주자들까지 일제히 3당 합의를 비판함에 따라 실제 개헌투표가 성사될 가능성은 작지만 대선정국의 변수로는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원호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부결이 예상되는데도 3당이 개헌안을 발의하겠다는 건 개헌 자체가 아니라 개헌을 통한 반문연대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해석했다.
글=강태화·채윤경 기자 thkang@joongang.co.kr
사진=박종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