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2015 ‘국민 삶의 질’공개

교육·안전·소득·소비 증가율 높아
주거·고용·건강은 개선 속도 더뎌
가족·공동체 분야 오히려 뒷걸음질
“교육 등 체감 수준과 거리감” 지적
지표 완성도 높이는 작업 계속돼야

자료 : 통계청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삶의 질 종합지수는 111.8이다. 기준 연도인 2006년(100)과 비교해 11.8% 올랐다.






교육와 안전 분야가 대표적이다. 공교육에 대한 불신이 지속되며 사교육비가 치솟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 분야가 경제 성장률 이상으로 개선됐다는 수치를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또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 사회 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진 실정이다. 이에 대해 최바울 통계청 통계개발원 정책지표연구실장은 “교육과 안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지고 있지만 고등학교 이수율이나 유치원 취원율, 사고 사망률 등 교육이나 안전과 관련된 객관적인 지표는 꾸준하게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통계청은 이 지표의 한계점을 인정했다. 배영수 통계청 통계개발원장은 “2015년 삶의 질 종합지수가 2006년보다 11.8% 상승했다는 수치를 갖고 실제 삶의 질이 이만큼 개선됐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며 “다만 경제 성장 수준과 대비해 한국 사회가 영역 별로 어느 정도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며 향후 정부가 어떤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 참고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지표가 공개된 만큼 향후 보완할 과제가 적지 않다. 정부는 학계와 언론,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지표 체계를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석호 교수는 “삶의 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 만큼 통계 작성에 대한 여론 수렴을 지속하고 지표의 완성도에 대한 개선 작업도 꾸준히 진행돼야 한다”며 “청소년 삶의 지표와 같이 인구 집단이나 지역별로 세분화된 통계를 만들면 향후 정책 활용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