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일보 1월11일자 1면 ‘물가 1% 올랐다?’ 기사.
올해 물가 기준으로 내년까지 조정
고령화·1인 가구 반영 지표도 개발
하지만 지난해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는 등 306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는데도 소비자물가지수는 고작 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물가지표의 현실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내년까지 올해 물가 기준으로 가중치를 조정하기로 했다.
또 고령화 및 1인 가구 증가 현상을 감안해 11월까지 가구주 연령과 1인 가구 등 개별 가구의 특성을 반영한 물가지표도 개발하기로 했다. 대형마트 등에 있는 바코드 리더기 등을 통해 보다 많은 상품들의 현장 거래 가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스캐너데이타’ 자료도 물가지수 산정 과정에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8% 오른 100.79로, 2015년 7월(101.4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당분간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 공공요금 인상을 자제하거나 인상폭을 최소화해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농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계약재배 농산물의 판매 및 유통 가격을 보장해주는 생산·출하안정제 적용 물량의 비중을 2020년까지 35%로 높이기로 했다. 현재 비중은 8%다. 계란가격 상승은 수입선 다변화, 가공식품 가격 상승은 담합 등 불법행위에 대한 엄정조치 등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세종=박진석 기자 kaila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