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세균
반기문 대선 출마에 대해선
“10년간 국외 체류하지 않았나”
황교안엔 “국정 잘 해가고 있어”
국회 내 대표적 개헌론자인 정 의장은 이날도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국정 공백은 일차적으로 대통령의 책임이지만 근본적으로 제왕적 대통령제의 산물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며 “국회 개헌특위가 내년 1월부터 가동되고 누가 대통령이 되든 개헌특위를 막을 방법이 없기 때문에 20대 국회에서는 개헌이 이뤄진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선 전 개헌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대선후보가 매우 구체적인 개헌 공약을 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차기 대선 후보군으로 꼽히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 “대통령은 국내 정치와 민생에 정통해야 하는데 이 분은 10년간 국외에 체류하지 않았나.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며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전날 출범한 비박계의 개혁보수신당(가칭)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이 대통령이 되는 데 기여했고 이후 국정 수행 과정에서 공동으로 정부를 운영해왔다는 업보가 간단하지 않다”며 “국민이 쉽게 잊어버리고 없던 일로 해줄 것 같지 않다”고 주장했다.
반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 대해선 비교적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정 의장은 “(권한대행 체제의) 태생적 한계에도 잘 해가고 있다”며 “정부 각 부처 장관도 이런저런 간섭 없이 책임의식을 가지고 국정을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황 대행이 박 대통령이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의 권한을 대행하는 점이 확인돼야 신뢰를 갖고 야권과 국회도 더 많은 역할을 요청하고 주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의 4당 체제도 긍정적으로 봤다. 정 의장은 “과거 여당이 청와대의 간섭 때문에 자율성을 상실해 여야 간 합의를 이뤄놓고도 지키지 못하는 ‘불행한 여의도’였는데 이제는 각 정파가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서로 존중하고 정치적 대화와 타협을 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