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영향으로 시장에 계란 공급이 부족하자 가격이 치솟았다.
농식품부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AI 여파로 계란값이 치솟고, 사재기 의혹도 제기되자 “제과·제빵업체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난황(노른자)과 난백(흰자) 등 8가지 계란 가공품에 대해 할당관세를 0%로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할당 관세는 외국산 제품을 수입해올 경우 수입업체에게 일정 물량에만 관세를 낮춰주는 것을 뜻한다. 평상시 계란 가공품 수입업체의 관세는 8~30%에 달했다.
농식품부부는 치솟는 가격등을 감안해 제과·제빵업계로 하여금 신선란 대신 가공계란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신선란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가공용 계란을 사용하는 국내 제과·제빵업체는 국내 유통량 기준 21.5%정도로 농식품부는 파악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AI여파가 장기화 돼 계란 공급 감소가 지속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신선란을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신선란에 대해서도 할당 관세를 적용해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신선란에 대한 할당관세는 27%다.
농식품부는 “국제계란위원회(IEC)의 조사에 따르면 AI 청정국인 미국과 캐나다, 호주 등의 계란 가격이 우리나라와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낮아서 수입해도 가격에는 큰 부담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부 유통상인 및 대형 제빵업체가 계란 사재기 의혹을 받는 데 대해 농식품부는 관계부처와 합동 TF를 만들어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의혹을 받고 있는 업체의 재고 물량과 위생안전실태 점검 후 혐의가 확정될 경우 TF에서 행정지도 또는 권고를 내릴 수 있다.
현재까지 정부가 AI방역조치로 도살한 산란계(알 낳는 닭)은 1593만4000여마리고, 국내 전체 사육 규모 대비 22.8%에 달한다. 대규모 도살 영향에 따라 계란 산지 가격은 전월대비 37%, 소비자 가격은 27.1% 상승했다.
이지상 기자 ground@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