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전경련 해체 반대’ 손든 6명</b>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렸다. 손경식 CJ·구본무 LG·김승연 한화·최태원 SK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신동빈 롯데·조양호 한진·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앞줄 왼쪽부터)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뒷줄 오른쪽)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전경련 해체에 반대하는 분 손들어 보세요”란 말에 기업 총수들이 손을 들어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이후 전경련 탈퇴의 뜻을 밝혔다. [사진 강정현 기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612/07/htm_201612073143893555.jpg)
‘전경련 해체 반대’ 손든 6명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렸다. 손경식 CJ·구본무 LG·김승연 한화·최태원 SK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신동빈 롯데·조양호 한진·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앞줄 왼쪽부터)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뒷줄 오른쪽)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안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전경련 해체에 반대하는 분 손들어 보세요”란 말에 기업 총수들이 손을 들어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이후 전경련 탈퇴의 뜻을 밝혔다. [사진 강정현 기자]
청문회 나온 기업 총수 9명
“대가 바라고 출연한 적 없어”
이재용 부회장에 질문 집중
“삼성, 전경련 탈퇴하겠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전경련을 탈퇴해 해체시키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싱크탱크를 만드는 데 지원을 하겠느냐”고 질문하자 이 부회장은 “제 입장에서 해체라는 말을 꺼내기에 자격이 없지만 저희는 탈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구본무 회장과 최태원 SK 회장도 전경련 탈퇴 의사를 밝혔다. 다만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앞으로 현대적으로 잘해야 한다”고만 답했다.
이 부회장은 이날 “저보다 훌륭한 분이 있으면 얼마든지 경영권을 넘기겠다”고도 했다. 그는 “최순실의 존재를 언제 알았느냐”는 의원들의 거듭된 질문에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문화·스포츠 지원을 제게 일일이 보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중에 보니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돼서 정말 후회되고 창피한 일이 많았다”고 했다.
대기업 총수들은 그러나 뇌물죄의 구성 요건인 ‘대가성’은 부인했다. 최태원 회장은 “대가성이란 생각을 갖고 출연한 일이 없고 (출연에) 관여하지도 않았다”고 말했고, 롯데 신동빈 회장도 “어떤 대가를 기대해서 출연한 사실은 없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사회공헌이든 출연이든, 어떤 경우에도 대가를 바라는 지원은 없다”고 강조했다.
7일 최순실 국정 농단 2차 청문회에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출석한다. 우병우 전 민정수석은 출석요구서 전달에 실패해 출석하지 않는다.
글=정효식·이지상 기자 jjpol@joongang.co.kr
사진=강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