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무성(左), 유승민(右)
새누리 비박 내부서도 입장 갈려
청와대, 대통령과 비박 회동 추진
새누리당에선 “박 대통령이 6~7일께 4월 말 퇴진 당론 수용 입장을 밝힐 것”이란 이야기도 돌고 있다. 친박계 중진 의원은 “특정 시점까지 퇴진 선언을 하라는 비주류 요구는 예의가 아니지만 탄핵을 막기 위해 응하지 않을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황영철 의원은 “최근 허원제 청와대 정무수석에게서 ‘대통령을 한번 만나는 게 어떠냐’는 연락을 받았다”고 이날 공개했다.
청와대도 다음주께 박 대통령과 비박계 의원들의 면담 가능성은 인정하고 있다. 다만 박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제시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청와대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내년 4월 대통령 퇴진 및 6월 조기 대선 당론을 정한 것은 존중한다. 하지만 퇴진 일정을 공식화하려면 박 대통령이 밝힌 것처럼 여야의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비박계 의원들에게 내년 4월 말 퇴진 입장을 밝히더라도 야당이 그걸 인정하지 않으면 혼란만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 고민”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내 친박·비박계 의원 각 3인으로 구성된 6인 중진협의체도 이날 회동을 하고 이정현 대표 사퇴 후 당을 이끌 비상대책위원장 후보로 김형오·박관용·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조순형 전 민주당 의원 등 4명을 추천했다. 친박계는 박관용 전 의장, 비박계 김형오 전 의장을 지지하고 있다. 이르면 5일 비대위원장을 확정할 예정이다.
새누리당은 또 탄핵 반대 의원 명단을 페이스북에 공개한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공모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소했다. 정병국 의원은 “새벽 3시까지도 항의 전화가 왔다”고 했고, 박성중 의원은 “문자 500통은 받은 것 같다 ”고 말했다.
최선욱·박유미 기자 isotope@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