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5년간 5260억 투자 계획
물품 운송, 환자 재활 보조 업무
평창올림픽선 안내·홍보도 맡아
이르면 내년부터 물품 운반 로봇 10∼15대가 일부 병원에 시범 보급된다. 2018년에는 민원인에게 간단한 안내를 하는 인공지능 기반 소셜 로봇 5∼10대가 우체국에 도입될 예정이다. 국·공립병원에는 국산 수술로봇 3∼5대가 배치된다.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는 안내, 홍보, 이송, 경비 업무를 맡는 로봇도 등장한다. 정부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로봇 활용을 권고할 수 있는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전문 연구인력도 키운다. 정부는 12월 카이스트에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를 설치해 2020년까지 15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여기서 석·박사급 연구인력 1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연구센터에선 인간형 로봇의 보행·조작 성능 고도화 기술과, 핵심 로봇 부품 등을 개발한다. 이외에도 신진·중견 연구자가 5년간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도록 연 1억∼3억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이외에도 핵심 로봇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기업들이 ‘로봇부품조합’을 구성해 로봇생산·측정장비를 공동으로 만들기로 했다. 로봇 기술 개발 방향과 투자전략을 중장기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가 참여하는 ‘로드맵 수립 위원회’도 만든다. 위원회는 내년 2월까지 첫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세종=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