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기로 오인하기 쉬운 질환
독감이 무서운 이유는 폐렴이라는 무서운 합병증을 유발해서다. 폐렴은 지난해 기준 사망 원인 4위에 해당할 만큼 치명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1만4718명이 폐렴으로 사망했다. 대표적인 노인 질환인 폐렴은 노인 인구가 늘면서 2005년 사망 원인 10위에서 10년 만에 4위로 뛰어올랐다. 분당차병원 감염내과 홍성관 교수는 “노인은 특히 (독감과 폐렴에) 주의해야 한다”며 “폐렴으로 사망하는 노인 상당수가 독감에서 악화된 사례”라고 말했다.
감기와 혼동하기 쉬운 또 다른 질환은 대상포진이다. 어렸을 때 수두를 일으킨 범인(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이 몸속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 다시 활개를 친다. 요즘처럼 일교차가 심한 환절기엔 면역력이 약해지기 쉽다. 처음엔 오한·발열·두통 증상이 나타난다. 전형적인 초기 감기 증상이다. 특정 부위가 따끔하거나 화끈거리는 불쾌감이 함께 나타난다. 3~4일쯤 지나면 띠처럼 길게 수포가 생긴다. 이때 피부 불쾌감은 무시무시한 통증으로 바뀐다.
대상포진이 무서운 이유는 바로 통증 때문이다. ‘통증의 왕’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 통증의 종류는 환자마다 다르다. ‘칼로 베인 듯한’ ‘수십 개의 바늘로 찌르는 듯한’ ‘전기가 흐르는 듯한’ ‘타는 듯한’ 통증이 찾아온다. 나이가 많을수록, 면역력이 떨어질수록 심해진다.
대상포진도 독감처럼 합병증을 남긴다. 수포가 가라앉은 뒤에도 수개월에서 수년간 통증이 줄어들지 않고 이어지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다. 대상포진을 앓았던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7명이 이런 합병증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됐다. 통증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건 물론 우울증과 만성피로를 유발한다. 대상포진이 얼굴에 나타났다면 드물게 시력과 청력을 앗아가기도 한다. 뇌졸중 위험을 4배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홍성관 교수는 “감기로 오인하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치료기간과 통증 강도가 더 심해진다”며 “오한·발열과 함께 특정 부위가 화끈거리거나 따끔한 증상이 있다면 대상포진을 의심하고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노인 백신 3종 세트’로 예방
가장 좋은 방법은 예방이다. 독감·대상포진엔 예방백신이 있어 간단한 접종으로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여기에 폐렴구균 백신을 추가 접종하는 게 좋다. 독감·대상포진·폐렴구균 백신은 ‘노인 백신 3종 세트’라고 불린다. 세 질환 모두 면역력이 약한 노인에게 위협적이다. 대한감염학회는 60세 이상 노인에게 세 가지 백신 접종을 적극 권장한다.
독감·폐렴 백신은 국가필수예방접종 사업에 따라 가까운 보건소와 병·의원에서 무료로 접종할 수 있다. 두 백신을 함께 맞으면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절반이나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감염학저널, 2012). 대상포진은 한 번 맞으면 평생 다시 접종하지 않아도 된다. 순천향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유병욱 교수는 “세 백신을 같은 날 동시에 접종해도 별문제가 없다”며 “다만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1주일 정도 간격을 두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진구 기자 kim.jing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