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는 30일 사드 배치 부지로 경북 성주골프장을 확정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왼쪽)은 이날 오전 발표에 앞서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을 방문해 사드 배치 부지 선정 관련 보고를 했다. [사진 박종근 기자]
민가 없어 전자파 논란 자유로워
박 대통령 “북핵은 턱밑의 비수”
유사시 미 증원군 보호장치 마련
중국 “결연히 반대, 필요조치 할 것”
군 당국의 계획대로 사드가 내년 상반기에 들어오면 일단 최소한의 방어수단을 확보하게 된다. 유사시 북한은 미국의 전력 증원을 막기 위해 남부지방의 항구나 공항을 공격할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대비가 절실했다. 김성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은 “김일성 주석이 생전 ‘6·25전쟁 때 낙동강까지 밀고 갔지만 부산으로 들어오는 미국의 증원 전력을 막지 못해 (전쟁을) 끝내지 못했다. 부산과 일본을 공격할 수 있는 무기를 만들라’는 지시를 했다”며 “북한은 미군 증원세력의 한반도 도착을 막기 위해 사거리를 늘린 미사일을 개발한 만큼 사드가 배치되면 이들 핵심 시설에 대한 보호막이 생기는 셈”이라고 말했다.
고도 40~150㎞, 사거리 200㎞ 안팎인 사드는 현존 최고의 요격미사일로 평가받고 있다. 경북 성주에 배치될 경우 경기도 평택이나 왜관 등의 주요 미군기지뿐 아니라 미 증원군이 이용할 부산항이나 김해공항으로 날아가는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임무를 맡는다. 육해공군 3군 사령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역시 사드의 보호권에 든다. 그래서 한·미 군 당국은 중부 이남 지역은 사드가, 수도권 지역은 패트리엇 미사일로 방어하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관련 기사 사드 부지와 8㎞ 거리 김천 “끝까지 철회 투쟁”

중국은 이날 강력히 반발했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의 한반도 사드 배치가 주변 국가의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돕지 못한다. 또 한반도 평화 유지에 도움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측은 이에 결연히 반대하며 국민안전 이익과 지역 전략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정용수 기자,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nkys@joongang.co.kr
사진=박종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