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이철희 교수팀 조사
남아 선호사상 강한 지역일수록
‘집안 일은 여자 몫’ 당연시 여겨
이 교수팀은 1990년대 초·중반의 출생성비를 지역별 남아 선호 측도로 삼았다. 이 시기에 성 감별 기술이 보급돼 성별 낙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91~94년 출생성비가 115인 지역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출생성비가 105인 지역의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하루에 34분 더 가사일을 했다. 출생성비는 여아가 100인 태어날 때 남아의 출생 수를 말한다. 이 기간 정상적인 출생성비는 103~107이었다.
90년 출생성비를 기준으로 보면 경북은 출생성비가 131인이고, 인천은 112인이었다. 이 기간 경북에서 태어난 남성과 결혼한 여성은 인천 남성과 결혼한 여성에 비해 64분 더 가사노동을 했다. 전통적인 성역할을 중시하는 남편이 있는 가정일수록 아내의 가사노동은 늘어났다. 반면 아내의 문화적 배경이나 주관적인 성역할 인식은 가사노동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적이든 보수적이든 상관없이 아내는 가사일을 일정 수준 한다는 뜻이다.
이 교수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조건을 개선하는 것 못지않게 남편의 성역할 태도가 변해야 남녀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00년대 들어 정상 성비를 회복했다”며 “따라서 남아 선호도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남녀 불평등도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개선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기찬 선임기자 wolsu@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