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통 구조 개선 목적 1999년 건립
개장 후 4년8개월간 적자만 498억
결국 운영 중단하고 창고로 임대
농식품부, 충남도에 국비 반환 요구
중부농축산물류센터는 충남도가 1999년 지었다. 당시 심대평 충남지사는 “유통 구조를 개선해 지역 소비자에게 농·축산물을 싸게 공급하고 생산자는 제 값을 받게 하겠다”며 건립을 추진했다. 사업비는 국비 278억원 등 519억원이 쓰였다. 13만907㎡ 부지 매입비가 122억원이고 나머지는 건축비 등이다.
운영은 충남도가 출자해 만든 ㈜중부농축산물류센터가 맡았다. 하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운영하면 할수록 적자가 쌓였다. 적자액은 개장 4년8개월 만에 498억원이 됐다. 운영비는 그때 그때 금융권에서 빌려 썼다. 결국 땅과 건물을 다 팔아야 빚을 갚을 수 있을 상황에 처했다. 2002년 대표이사마저 공금 80억원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됐다.
충남도는 결국 2004년 전체 부지 중 5만4710㎡을 팔아 조성한 388억원에 도 예산 110억원을 보태 빚을 갚았다. 또 물류센터 운영을 중단하고 관리공사를 만들어 시설 임대사업을 했다. 한 유통회사가 충남도에 연간 5억7000만원을 내고 전자부품과 자동차 용품 등을 보관하는 창고로 쓰고 있다. 이 돈으로는 관리공사 직원 3명의 인건비 등으로 쓰면 남는 게 없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09년 당초 목적에 맞게 물류센터를 운영하지 않자 국비 228억원을 되돌려 달라고 충남도에 요구했다. 이듬해엔 행정자치부가 물류센터 관리공사의 청산을 명령했다.
도는 땅과 건물을 모두 팔기로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았다. 2011년부터 7차례에 걸쳐 매각을 시도했지만 나서는 사람이 없었다. 건물 용도가 제한적인 데다 도심 외곽에 자리잡은 게 문제였다. 나사렛대 평생교육원 이영행(부동산학) 교수는 “활용 가치가 떨어진 시설을 수백억원에 팔겠다는 생각 자체가 잘못”이라고 말했다.
도는 국고 보조금을 내년까지 돌려주기로 했다. 하지만 향후 활용 방안은 아직 찾지 못했다. 신혼부부나 취약계층을 위한 임대주택이나 복합상가·복합예술센터 건립 등 여러 가지 활용방안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활용방안에 대해 각계 의견을 듣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법은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천안=강태우 기자 kang.taewoo@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