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최고위서 추궁당한 뒤 발언
100% 국민공천 대안 찾기 본격화
실제 “보스공천, 정치 보복성 물갈이의 폐해를 없애려면 100% 오픈프라이머리를 해야 한다”는 소신을 밀어붙이기엔 김 대표 주변의 환경이 우호적이지 않다. 야당의 협조가 필수적이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예외 없이 ‘여야 동시+전 지역’에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는 건 곤란하다.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해야 검토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음 총선에서도 지분을 유지하려는 당내 친박근혜계들도 “비현실적”(윤상현 의원)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19일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친박계와 비박계는 설전을 벌였다.
비박계인 정병국 의원은 “지난 4월 의원총회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만장일치로 채택해놓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국민을 속이면 안 된다”고 친박계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전제로 오픈프라이머리를 받겠다는 야당의 (빅딜) 제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자”고 주장했다. 그러자 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이정현 의원이 나서 “오픈프라이머리의 (국민) 참여율이 낮을 수 있고, 상대방이 똘똘 뭉쳐서 역선택을 하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하자는 문제 제기를 계파 싸움으로 봐선 안 된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도 이젠 현실의 벽이 간단치 않음을 느끼고 있는 듯하다. 김 대표가 ‘대안’을 찾고 있는 정황은 또 있다.
김 대표가 목표로 삼고 있는 100% 오픈프라이머리는 ‘당 지도부의 전략공천 금지’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김 대표가 최근 친한 의원들에게 “하는 수 없이 오픈프라이머리를 거치지 않는 공천을 일부 하게 되더라도 15% 정도만 할 것이고, 여성이나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몫으로 쓰겠다”는 말과 함께 "절대로 당 대표가 공천권을 좌지우지하지 않겠다”는 언급을 했다고 한다.
서승욱·남궁욱 기자 sswook@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