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당과 협상 전 전략 노출 우려
당에선 선별복지 도입 주장도
새정치연합의 이런 움직임은 선별적 복지 논쟁이 자칫 무상복지의 틀을 허무는 것으로 비칠 수 있음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당 관계자들은 전했다. 오는 10일 여야 원내대표가 주례회동에서 ‘세금·복지 논의 기구’ 구성을 위한 본격 협의에 착수하는데 야당이 먼저 패를 내보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당내에선 ‘법인세 인상과 선별적 복지’ 간 빅딜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백재현 정책위의장은 “모든 논의는 새누리당에서 법인세를 어떻게 할지 입장을 정리하는 데 달렸다”며 “선별적 복지 역시 정부·여당에서 먼저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 내부에선 선별적 복지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적지 않다. 경제부총리를 지낸 김진표 당 국정자문회의장은 본지 통화에서 “ 지난 7년간 저성장의 악순환을 겪었는데 경제가 처한 상황을 나 몰라라 할 수 없다”며 “무작정 국가 부채를 더 늘려 복지를 확대할 수 없으니 기본 복지는 건드리지 말되 다른 복지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당 관계자도 “우리가 강조해 온 (무상복지) 정책을 진정으로 원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당내 목소리가 존재한다”며 “(우 원내대표의 발언 철회는) 당내 공감대가 분명히 있지만, 의원총회와 같은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발언한 데 대한 난처한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