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그린벨트 규제 풀기로
업계 "수익률 6~7% 돼야 참여"
민간 회사가 임대주택 사업을 한다면 수요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수도권에 있는 그린벨트 일부를 임대주택 용지로 풀어주려는 건 이 때문이다. 또 임대주택을 분양으로 전환하지 않고 그 기간을 10년 이상 이어가는 회사에 대해선, 더 많은 집을 수 있도록 아파트 건물 높이 제한도 완화해주기로 했다. 임대 수익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민간회사가 사업을 시작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해 싼 이자에 사업비를 빌려주고, 세금을 깎아주는 방안도 추진한다. 저리 대출은 국민주택기금에 모인 돈을 활용할 예정이다. 주택기금을 활용하면 연 2% 초반대 이율로 대출이 가능하다. 김재정 국토부 주택정책관은 “여러 혜택으로 수익률이 5% 이상 나오도록 해줘야 업체들이 임대주택업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민간 임대주택사업이 활성화되기엔 정부와 업계의 기대치에 간격이 있다. 민간 건설업계에선 최소 6~7% 수익률을 원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정부가 어느 정도 해소해주는지 확인한 뒤에 사업 참여 여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며 “ 푸르지오 브랜드로 임대주택이 생긴다는 얘기도 나오는데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남무경 GS건설 건축기획담당 상무는 “임대주택 보증금을 받으면 그 돈이 빚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그만큼 회사 자금이 묶인 다”며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과 세제 지원이 뒷받침된다면 사업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세종=최선욱 기자, 황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