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남북관계에 대한 정부 입장을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연설 중 하나이다. 올 해 박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현재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 수 있는 어떤 단초가 제공될 수 있을까를 주목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러나 이번 경축사에는 악화된 현재 남북관계를 풀 수 있는 획기적인 제안이나 정책 제시는 담기지 않았다. 현 정부의 남북관계 기조인 비정치적 분야의 접촉 기회를 늘리고 실현 가능한 작은 부분부터 실천에 옮기는 식의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를 위해 북한이 도발적 자세를 버리고 우리의 접촉 제의에 응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남북관계 경색의 책임을 북한에 묻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우리가 먼저 북한이 접촉 제의에 호응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협력적 제안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번 경축사에는 담기지 않았지만 고위급 접촉에 응해야 한다는 당위만 주장할 게 아니라 북한이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주는 전향적인 제안이 담겨야 한다는 것이다. 광복절 경축사를 읽는 국민들의 시각도 두 갈래로 나뉜다. 이번 두 신문의 사설도 예외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