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
자사고 일방적 매도해선 안 돼
교육감들 지정 취소엔 신중 대응
새정치민주연합 도종환 의원이 “자사고 지정 취소 권한은 최종적으로 교육감에게 있지 않느냐”고 지적하자 “법상으론 맞다. 그렇지만 교육에 대해선 정부도 책임이 있다”고 반박했다.
법외노조가 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전임자들의 미복귀 문제에 대해선 분명하게 선을 그었다. 황 후보자는 “정부의 확고한 입장에 따라 법적 절차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답했다. “교육부가 전교조 문제를 놓고 교육청을 협박하듯 하고 있다”는 조정식(새정치연합) 의원의 지적에 대해 “시·도 교육감들과 만나 의견을 들어보겠다”면서도 “법적 절차에 따 라 여러 가지 일을 집행해야 하는 정부의 고충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역사교과서의 국정(國定) 전환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황 후보자는 “제 소신은 자라나는 학생에게 중요한 역사 부분은 정권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한 가지로 가르쳐야 국론 분열의 씨앗을 뿌리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다만 국정교과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고 공론화 과정을 거쳐 잘 매듭짓겠다”고 말했다.
교육계의 오랜 쟁점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 문제에 대해선 “0∼2세엔 보육뿐 아니라 교육적 돌봄도 필요하다”며 “유아교육과 보육체계 통합을 최우선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날 청문회에 야당은 황 후보자의 신상 문제와 과거 발언 등을 집중 공격했다. 반면 여당은 의혹에 대한 해명 기회를 주거나 정책적 답변을 유도하며 황 후보자를 방어했다. 새정치연합 배재정 의원은 “2004년 실제 변호사 활동은 하지 않으면서 수임료만 챙겼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도 야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각하’라고 칭한 것이나 친일 인명사전에 포함된 김활란 박사를 찬양한 발언 등을 예로 들며 황 후보자의 역사인식 문제를 꼬집었다.
글=윤석만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