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집값도 상승세로 돌아서
주택업계 "매수심리 회복 할 것"
전세 임대소득 과세 방침이 백지화되면서 주택 업계엔 매수 심리 회복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완연하다. 주택 매매 가격은 올해 초 오르다가 4~6월 수도권에선 집값이 떨어졌고 지방에서도 상승세가 꺾였는데, 그 원인으로 2월 26일 정부가 발표한 ‘주택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이 지목돼왔기 때문이다. 이 방안엔 전세보증금을 포함한 임대소득 과세 방침이 포함됐다. 하락세를 거듭하던 집값은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내정 단계부터 상승세로 돌아선 상태다. 최 부총리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계획을 밝히면서 가라앉았던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기 시작했다. 지난달 말까지 13주 연속 떨어지던 수도권 아파트값은 이달 들어 2주 연속 0.01%씩 올랐다. 김세기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정부가 부동산 규제 완화를 추진하면서 매수심리 회복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지방에서도 울산·충남과 같은 근로자 수요가 많은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최 부총리는 박근혜 정부 2기 경제내각의 우선 목표가 부동산시장 활성화라는 신호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날 취임 후 첫 현장 방문도 경기도 성남의 새벽인력시장이었다. 이 자리에서 최 부총리는 “건설·부동산 시장이 살아나야 일자리가 늘어난다”고 말했다. 여기에 전세 임대소득 과세 계획까지 철회되면 집값 상승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분석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2·26 대책 이후 집을 팔겠다는 다주택자가 많았는데 이들 상당수가 매물을 거둬들일 것으로 본다”며 “또 집주인이 월세로 집을 내놨다가도 세금을 피하기 위해 전세로 전환할 수 있는데, 그러면 전세 공급이 늘고 전셋값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종=최선욱, 성남=강병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