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 앞다퉈 실시간 보도
한국의 위기대응 난국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人民日報) 자매지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발전된 국가도 안전위기에 직면한다’는 제목의 사설에서 이번 사건은 “한국의 현대화 수준을 묻는 시험”이라며 “한국의 생활 수준은 선진국에 가깝지만 위기 대처 모습은 선진국과 거리가 멀다. 이번 재난은 (한국) 현대화의 취약성을 보여준 거울”이라 꼬집었다. 홍콩 문회보는 꼭 102년 하루 전(1912년 4월 15일) 발생한 타이태닉호 사고를 거론하며 “복합적 사고 원인 가운데는 선장의 직업적 도덕의식 결여가 가장 크다”고 보도했다. 일본 언론 역시 세월호가 일본에서 건조된 선박이라는 점과 함께 진도 해역 유속 등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 언론에 대한 질타 목소리도 높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와 에릭 슈밋 구글 회장 등이 기고하는 온라인 매체인 월드포스트는 17일자에서 “오락가락하는 정부도 문제지만 이를 여과 없이 받기만 하는 한국 언론도 문제”라고 지적 했다.
외신은 지난달 발생한 말레이시아 항공기 실종보다 더 큰 뉴스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사와다 가쓰미(澤田克己) 서울외신기자클럽회장은 전했다. 그는 “말레이시아 항공기가 눈앞에서 사라져 ‘미스터리’로서 궁금증을 자아냈다면 이번 침몰은 눈앞에 보이는 세월호가 침몰하는데도 손을 쓸 수 없었다는 점에서 더 큰 뉴스거리”라고 분석했다. 앨라스테어 게일 WSJ 서울 특파원은 “어린 생명이 수백 명 갇혀 있기에 더 충격이며 본부 편집국에서도 관심이 뜨겁다”고 전했다.
한편 각국 정상의 위로도 이어졌다. 17일(현지시간) 애도의 뜻을 전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에 이어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19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세월호 사고 소식에 깊은 충격을 받았다. 영국 국민 모두가 희생자와 유족을 애도하며 실종자의 무사 귀환을 기원한다”는 위로 메시지를 보냈다고 주한 영국대사관의 콜린 그레이 대변인은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