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설득 '중국 방식' 시나리오는
때문에 중국이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압박하고, 한국은 미국의 완고한 입장을 설득하는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중국은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사무특별대표 방북(17일) 전에 우리 정부와 사전협의를 진행했고,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나온 북핵 불용의 입장을 북한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이 언급한 ‘북한을 설득하기 위한 중국 측 방식’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와 관련해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겠다”고 공개 천명하고 6자회담 테이블에 앉는 대신 시 주석이 중·북 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 체제를 인정해주는 방식도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로 언급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김정은이 권좌에 앉은 지 1년6개월이 다 되도록 아직 중국과 정상회담을 하지 못한 데 대해 조바심이 나 있는 상태지만, 중국은 절대 공짜로 정상회담을 해줄 생각이 없다”며 “북한이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보인 뒤 시 주석이 김정은을 공식 인정해주는 방식이라면, 북핵 문제에 있어 레버리지를 쥐게 되는 중국도, 중국이라는 방패막이를 더욱 든든하게 만드는 북한도 윈윈이 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고 전했다.
미국이 내걸었던 ‘대화 선결조건’을 얼마나 양보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미국은 6자회담 재개의 조건으로 2011년 북·미가 서명한 2·29 합의 이상의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2·29 합의는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중단 ▶핵·미사일 실험 유예(모라토리엄)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시단 입북 허용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신각수 국립외교원 국제법센터 소장은 “미국은 김정은 집권 초 북핵 해결에 유연한 입장이었지만 북한이 핵실험 등 2·29 합의를 깨면서 대화 자체에 진절머리가 난 상태”라며 “6자회담에 흥미를 갖도록 미국을 설득하는 일과 선결조건에서 미·중 사이와의 간극을 줄이는 일이 모두 우리나라 몫이 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일본도 변수가 될 수 있다. 김흥규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미국은 북핵을 포함해 동북아 안정을 위해 한·미·일 간 공조를 추진하겠지만 일본은 북핵보다 납북자 문제 등에서 실리적 이익을 취하려고 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원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