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38곳 정상화 계획

특히 MB 정부의 핵심 어젠다였던 자원개발·녹색성장에 대한 투자를 줄이는 내용이 많다. 한국석유공사는 2009년 1조원을 주고 샀던 캐나다 정유회사 날(NARL)을 매각하기로 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1986년 캐나다 국영석유회사가 1달러에 팔았던 부실회사라는 지적을 받았다. 한전과 발전자회사들도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시설 투자 시기를 조정해 6조2000억원의 사업비를 아끼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는 지난 정부 때 원전을 대체할 미래 에너지원으로 각광받았지만 2008년 금융위기의 충격으로 시장이 크게 침체돼 사업성이 불투명한 상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미착공 사업지구에 대한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총 8조8000억원의 사업비를 줄이기로 했다. 이와는 별도로 LH를 비롯해 한전·수자원공사·한국수력원자력은 사옥 매각을 추진한다. 한국철도공사는 용산부지 재매각과 민자역사 지분매각을 통해 부채를 줄인다.
부채 증가의 또 다른 원인으로 지목된 과도한 복리후생비도 조이기로 했다. 38개 기관의 올해 복리후생비는 지난해보다 1600억원(22.9%) 적게 책정됐다. 1인당 평균 복리후생비는 484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44만원 줄었다. 한전·한수원은 임금인상분과 성과급의 절반을 반납하고, 한국도로공사는 임원 임금을 깎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개선계획을 충실하게 이행하지 못한 기관장은 9월 중간평가 때 해임을 포함한 강력한 문책 조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