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공약 파기 파상공세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공약파기 거짓말 정권 규탄대회’에서 “박 대통령의 모든 공약이 거짓공약이었다는 사실이 하나하나 확인되고 있다”며 “아이들도 속았고 노인도 속았고 온 국민이 속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엇보다 어르신들을 이용한 박 정권은 불효정권”이라며 “어르신들께서 이 불효정권에 매서운 회초리를 들어달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현실을 고려한 신축적 운영 결정에 대해선 평가하면서도 향후의 청사진 제시는 미흡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앙대 박찬희(경영학) 교수는 “성장률 전망이 전제되지 않고 재정 상황이 좋아지면 공약을 실천하겠다는 것은 세계경제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공염불에 그칠 수 있다”며 “박 대통령이 제시한 지하경제 양성화 등의 해결 방안만으로 재원을 마련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화여대 유성진(스크랜튼학부) 교수도 “결국은 재원 마련 문제인데 구체적인 답변이 없었다”며 “법인세 확대는 하지 않겠다는 상황에서 사실상 간접세 확대밖에는 재원 대책이 없는데 증세론 역시 박 대통령의 원칙론에 벗어나 나중에 정치적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이날 대선 때 복지 확충 등을 위해 합리적 조세 수준 결정을 위해 설치하겠다고 공약했던 국민대타협위원회를 만들어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해 국민대타협위의 운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공약을 지키지 못한 이유로 세수 부족을 든 만큼 대타협위에서 복지정책의 조정이나 증세를 논의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 스스로 지난 대선 때 증세 없이도 복지 증대가 가능하다고 주장했고 취임 이후에도 증세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증세 논란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얘기다.
신용호·강태화 기자
관련기사
▶ 朴대통령, 기초연금 후퇴 재차 사과 "안타깝고 죄송"
▶ 김한길 "공약 못지킬 것 미리 알았다면 나쁜대통령"
▶ 與 일부, 사과 미흡 지적…野, 히틀러 운운하며 비판
▶ 민주 강봉균 前의원 "국민설득을…野공격,정치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