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사가 했던 진료비 심사
내달부터 심평원이 직접 나서
작년에만 443억원 새나가
자동차보험 사기는 매해 늘어나는 추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사기로 적발된 사람은 2010년 5만4322명이었다가 지난해엔 6만821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꼭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는데 치료를 받았거나 오랜 기간 입원을 한 나이롱 환자도 4664명에서 1만554명으로 불어났다. 지난해 이들로 인해 새나간 돈이 443억원이었다.
이처럼 자동차보험 사기가 증가하는 데는 보험사가 직접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를 하는 관행이 한몫했다는 지적이 많다. 의료인력이나 전직 경찰 등을 고용해 심사를 해왔지만 보험사기를 모두 적발하기엔 역부족이었다는 것이다. 심사 건수에 비해 인력이 턱없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보험사별로 심사 기준이 제각각인 것도 정확한 심사를 어렵게 한다는 지적이다.
김영산 손해보험협회 홍보팀장은 “심평원은 건강보험 진료비 심사를 하면서 쌓인 노하우가 있고 준정부기관이라 의료기관의 협조를 얻기 쉽다”며 “보험사가 개별 심사하는 것보다 과잉진료를 막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심평원도 “도덕적 해이가 줄어들면 자동차 보험료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장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