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관 서울 동부지검장

그의 민원실 당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9년 대전지검, 2011년 수원지검 등 그가 검사장으로 나간 지검마다 했다. 그는 “민원실 직원들이 난이도가 높은 민원사항이면 ‘검사장의 민원실 근무일에 다시 오라’고 하더라”며 웃었다.
그는 또 검사가 사건 처분을 내리기 전 피해자·피의자·고소고발인에게 내용을 미리 설명해 주도록 했다. 수사 과정에서 투명성을 확보하는 목적이었다. 동부지검 직원들은 “부지런하고 아이디어가 많아 모시기가 쉽지 않은 상사”라면서도 “하지만 합리적인 분이라 그리 힘들지 않다. 직원들 의견도 타당성이 있으면 잘 수용한다”고 말했다.
성추문 사건 이후 동부지검의 분위기는 흉흉했다. 부임 뒤 한 검사장은 검사·수사관은 물론 환경미화원·방호원·공익근무요원 등 지검에 근무하는 모든 사람과 식사를 같이 하며 대화를 나눴다. 이 같은 소통 노력 덕분에 동부지검 구성원들의 사기는 다시 올라가고 있다.
한 검사장은 “민원상담을 해보면 대부분 변호사의 도움을 받지 못해 처음부터 일이 그릇된 사례가 많았다”며 “서민에게 문턱이 높은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2010년 법무부 법무실장에 있으면서 ‘법률 홈닥터’를 도입했다. 변호사가 지방자치단체 등에 상주하면서 서민에게 무료 법률상담을 해주는 제도다. 지난해 본격 시행돼 현재 전국 20개 지자체에서 법률 홈닥터가 활동 중이다.
한 검사장은 “검사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많은 권한을 갖고 있다. 그 권한을 행사하기 전에 왜 이런 힘이 주어졌는지 스스로 물어보는 게 검찰 개혁의 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결국 국민에게 봉사하기 위해서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데 검찰도 일조해야 한다. 그러려면 끊임없는 검찰 개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 검사장은 서울 성동고와 서울대 법대를 거쳐 1983년 사법시험 25회에 합격했다.
이철재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