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현 위원회 문제 많아”
환경정책 전반적 리모델링
4대강 점검 위원회도 제안
환경 분야를 다루는 인수위 법질서사회안전 분과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의 방향성에 의문이 있다”며 “대통령 직속기구인 녹색성장위원회의 10대 전략과 50여 개 지표를 살펴보면 80%가 녹색이나 지속가능성과는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지표가 명확해야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며 “박근혜 당선인의 최종 목표인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가기 위해 수정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인수위는 새로운 환경 정책에 토목·건설 대신 IT·바이오 같은 첨단산업을 접목시킬 계획이다. 박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운 환경복지, 개발보전, 에너지, 기후변화 4대 과제에 신기술을 결합시켜 녹색의 이미지를 살리겠다는 것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IT,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은 대기업뿐 아니라 강소 기업의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 강소 기업 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녹색성장위원회 대신 새로운 컨트롤 타워를 만들어 전반적 환경정책을 리모델링한다는 계획이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현재 녹색성장위원회나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결정만 하고 책임이 없다”며 “결정자가 책임질 수 있는 ‘행정(기구형) 위원회’나 총리실 산하 영구조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인수위는 논란이 된 4대 강 사업과 관련해선 제3자인 전문가로 구성된 ‘4대 강 점검 위원회’ 구성을 제안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 11일 인수위에 4대 강 수질 악화 문제 등을 보고했고, 13일 국토해양부도 4대 강 사업과 관련된 일부 부작용을 보고했다고 한다.
감사원은 당초 4대 강과 관련해 보(洑) 본체의 균열과 보 하단의 세굴(洗掘) 현상 및 홍수·가뭄 관리 등에 대한 감사 결과를 보고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확정이 안 된 개별 감사 사안을 보고할 수 없다’면서 해당 보고를 제외했다. 인수위는 부처별 보고를 받은 뒤 문제점을 취합해 4대 강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재점검 작업을 건의한다는 생각이다.
인수위는 박 당선인의 환경공약 중엔 ▶최고정책당국자 실명제를 통한 과잉 토건개발 견제 ▶재생에너지 자원지도 구축을 통한 원자력 중심의 에너지 포트폴리오 개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및 배출권거래제의 실효적 재구성 등을 중점 사안으로 추진키로 했다.
정원엽 기자